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신혼여행 제주도
- 제주 몸국
- 제주 자유 여행
- 제주도 중문
- 제주 음식
- 제주로시집온서울토박이
- 용두암 오메기떡
- 작가입문
- 제주 가을 여행
- 오메기 떡집
- 제주 3박 4일 여행
- 제주도 여행 렌트카
- 제주도 뚜벅이 여행
- 514챌린지
- 제주 대표 음식
- 제주 시내
- 김양희 작가
- 제주밥상김마마
- 전자책출판
- 제주 뿔소라
- 독립출판
- 제주도 바다
- 제주 홀로 여행
- 제주도 바닷가
- 제주여행
- 제주음식
- 제주로 시집 온 서울 토박이
- 자가출판
- 김양희작가
- 제주시 여행
- Today
- Total
제주로 오세요
해안올레길 북촌마을 용천수 를 가보자. 본문
제주올레길 19코스에 있는 조천읍 북촌리 해안 올레길
제주도의 옛 모습들이 남아있는 아름다운 작은 마을
꼬닥꼬닥(천천히) 걷는 2시간 코스
북촌리는 걸어서 두 시간 정도면 다 돌아볼 수 있는 작은 마을
방문자의 눈길을 붙잡는 아기자기함이 곳곳에 숨어 있다.
마을 초입에서는
활짝 핀 붉은 동백과 함께 ‘아름다운 북촌리’라고 적힌
벽화가 여행자를 반긴다.
바닷가 마을 특유의 알록달록 선명한 지붕과 하얀 벽,
검은 돌담을 따라 걷다 보면 화사한 색채의 벽화와
돌담에 얹어 장식한 소라껍데기, 생활의 흔적이 선명한 어구와 장비 등
소소한 마을의 풍경들이 정겹다.
< 제주 동쪽 마을 북촌포구 >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1281-6
공항에서 동쪽으로 20킬로 함덕 서우봉을 지나면 작은 마을이 나타난다.
북촌포구에 주차를 하고 한 바퀴 돌아보자.
포구 주변으로 북촌 사람들이 식용수로 사용한 물통이 있다.
살아있는 물, 산물은 마을을 지키고 사람들 지탱해 주었다.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자취가 선명한 것은
마을 곳곳에 있는 20여 개의 크고 작은 용천수 덕분이다.
북촌리를 대표하는 용천수는 북촌포구 입구에 있는
사원이 물(사원 잇 물)과 도 와치 물이다.
<사원이 물>
북촌리를 대표하는 산물로는 ‘뱃구들’ 포구 입구에 있는 사원이 물이다.
이 산물은 중동 마을 입구에 있는 여성 전용의 물이다.
일부 현대적으로 개조됐지만 여전히 예전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물허벅을 올려놓는 물팡을 양쪽 벽면에 길게 만들고
T자형으로 칸을 나눠 빨래터를 만들었다.
눈에 띄는 두 개의 원형 시멘트 식수통이 있는데 밀물이 되어도
짠 바닷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 지혜로운 방법이다.
이 식수통에서 물을 길어 식수로 사용하고,
넘치는 물은 빨래 등 허드렛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대부분의 물통 구조는 맨 위칸으로 물이 채워지면 그 물은 식수로,
두 번째 칸은 채소 씻는 물로 쓰이고
세 번째 칸은 양쪽으로 나누어 빨래 등
허드레용(잡용수)으로 사용하는 지혜로움이 보인다.
제주 가을 여행 계확이 있다면 제주 동부 여행 코스에 북촌리를 가보자.
김양희 작가가 추천하는 용천수 탐방길
제주 옛사람들의 생명수인 용천수(제주산물) 소개
'제주신화 신당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천수 탐방길 조천리로 가보자. (0) | 2022.10.14 |
---|---|
북촌마을 샘물 구경 가 봅데가? (0) | 2022.10.13 |
제주 여행 삼양동 유적지 (0) | 2022.10.04 |
제주 갓전시관을 방문하다 (0) | 2022.09.29 |
<제주신화> 문화유산 칠머리당을 찾아서~~ (0) | 2022.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