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김양희작가
- 오메기 떡집
- 제주여행
- 용두암 오메기떡
- 514챌린지
- 제주로 시집 온 서울 토박이
- 제주도 바다
- 작가입문
- 제주밥상김마마
- 제주 홀로 여행
- 제주 음식
- 제주음식
- 제주시 여행
- 제주도 뚜벅이 여행
- 제주도 여행 렌트카
- 독립출판
- 제주도 바닷가
- 제주로시집온서울토박이
- 제주도 중문
- 제주 자유 여행
- 제주 시내
- 김양희 작가
- 제주 3박 4일 여행
- 제주 뿔소라
- 제주 가을 여행
- 자가출판
- 신혼여행 제주도
- 제주 대표 음식
- 전자책출판
- 제주 몸국
- Today
- Total
제주로 오세요
기메 가 무엇인지 궁금하시죠? 본문
조천리 마을 사랑방에서 기메 체험을 했어요.
창호지를 접어서 몇번 가위질을 하고 나니
재미있는 모양이 만들어 졌어요.
색종이로 모양을 만들던 어린시절이 생각 났어요.
제주굿을 할 때 여러가지
뜻이 있는 모양을 만들어 사용하는 무구 입니다.
기메는 백지나 창호지에 모양을 오려
신체, 깃발, 창살 등의 형상으로 만든는데
제장을 장식하는 용도로 쓰이거나 의례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도구로 쓰인다.
기메 라고 부르는 말의 어원은
정확한 유래는 없지만 ‘기’는 깃발의 뜻,
‘메’는 모양을 의미하는 뜻을 참고합니다.
대부분의 기메는 그 역사가 그리 오래지 않아
제주 지역에서 쓰기 시작한 것이
불과 60년을 넘지안는다고 하십니다.
기메는 신체의 형상을 지닌 것만
기메라고 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깃발, 꽃 등의 형태를 띠는 것도 기메로 부른다.
살장류에 속하는 기메는 명칭이 ‘-살장’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고무살장, 지게살장 등이다. 모두 장식용이라고 할 수 있다. 살장은 종이로만 이루어진다. 창호지 한 장에 칼이나 가위로 다양한 모양의 구멍을 내어 당클의 앞을 가린다. 고무살장, 모람장, 지게살장 등이 있다. 송낙류에 속하는 기메는 명칭이 ‘-송낙’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할망송낙, 칠성송낙 등이다. 기타 이상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육고비, 동심절, 번, 성주꼿, 칠성신상, 적베지, 영실, 고리동반, 철쭉대 등이 있다.
기메는 명칭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기류, 지류, 지전류, 살장류, 송낙류, 꽃류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기류에 속하는 기메는 명칭이 ‘-기’로 되어 있는 것으로 대통기, 소통기, 좌둣기, 우둣기, 시왕기, 멩감기, 체섯기, 영갓기, 감상기, 군문기, 조왕기, 오방각기, 기리여기, 양상기, 성줏기 등이다. 지류에 속하는 기메는 명칭이 ‘-지’로 되어 있는 것으로 레지, 당반지, 전지, 너울지 등이다. 고정되어 있어 의례 중에 이동이 없는 것들이다. 지전류에 속하는 기메는 명칭이 ‘-지전’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지전, 통지전, 발지전 등이다. 지전으로만 쓰이기도 하고 장식으로 쓰이다가 지전으로 전환되어 쓰이기도 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기메 (한국민속신앙사전: 무속신앙 편, 2010. 11. 11.)
'제주신화 신당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산읍 수산 초등학교에 가면 진안할망당이 있다. (0) | 2022.10.27 |
---|---|
제주를 지키는 와흘본향당 (0) | 2022.10.20 |
용천수 탐방길 조천리로 가보자. (0) | 2022.10.14 |
북촌마을 샘물 구경 가 봅데가? (0) | 2022.10.13 |
해안올레길 북촌마을 용천수 를 가보자. (0) | 2022.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