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로 오세요

기메 가 무엇인지 궁금하시죠? 본문

제주신화 신당 이야기

기메 가 무엇인지 궁금하시죠?

제주밥상김마마 2022. 10. 23. 23:41
반응형

조천리 마을 사랑방에서 기메 체험을 했어요.

창호지를 접어서 몇번 가위질을 하고 나니 

재미있는 모양이 만들어 졌어요. 

색종이로 모양을 만들던 어린시절이 생각 났어요.

제주굿을 여러가지 

뜻이 있는 모양을 만들어 사용하는 무구 입니다.

기메는 백지나 창호지에 모양을 오려 

신체, 깃발, 창살 등의 형상으로 만든는데 

제장을 장식하는 용도로 쓰이거나 의례를 

진행하는 필요한 도구로 쓰인다. 

기메 라고 부르는 말의 어원은 

정확한 유래는 없지만 깃발의 , 

모양을 의미하는 뜻을 참고합니다. 

대부분의 기메는 역사가 그리 오래지 않아 

제주 지역에서 쓰기 시작한 것이 

불과 60년을 넘지안는다고 하십니다.

기메체험


기메는 신체의 형상을 지닌 것만 

기메라고 있으나 실제로는 

깃발, 등의 형태를 띠는 것도 기메로 부른다.


살장류에 속하는 기메는 명칭이 ‘-살장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고무살장, 지게살장 등이다. 모두 장식용이라고 있다. 살장은 종이로만 이루어진다. 창호지 장에 칼이나 가위로 다양한 모양의 구멍을 내어 당클 앞을 가린다. 고무살장, 모람장, 지게살장 등이 있다. 송낙류에 속하는 기메는 명칭이 ‘-송낙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할망송낙, 칠성송낙 등이다. 기타 이상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육고비, 동심절, , 성주꼿, 칠성신상, 적베지, 영실고리동반철쭉대 등이 있다.

기메는 명칭에 따라 분류할 있는데 기류, 지류지전, 살장류, 송낙류, 꽃류 등으로 정리할 있다. 기류에 속하는 기메는 명칭이 ‘- 되어 있는 것으로 통기, 통기, 좌둣기, 우둣기시왕기, 멩감기, 체섯기, 영갓기, 감상기군문기, 조왕기, 오방각기, 기리여기, 양상기, 성줏기 등이다. 지류에 속하는 기메는 명칭이 ‘- 되어 있는 것으로  레지, 당반지전지너울 등이다. 고정되어 있어 의례 중에 이동이 없는 것들이다지전류에 속하는 기메는 명칭이 ‘-지전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지전, 통지전, 발지전 등이다. 지전으로만 쓰이기도 하고 장식으로 쓰이다가 지전으로 전환되어 쓰이기도 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기메 (한국민속신앙사전: 무속신앙 , 2010. 11. 11.)

 

반응형
Comments